By Kyong-Ae Choi

한국의 수도 서울에서의 일상은 여느 때와 같이 지극히 정상적이고 평온하게 흘러가고 있지만, 한국에 나와있는 외국대사관 중 적어도 두 곳은 남북한 간에 오가는 호전적인 발언과 제스처들이 보다 심각한 상황으로 번질 것을 대비해 분주히 움직이는 모습이다.

Agence France-Presse/Getty Images
주한 태국대사관.

1일(월요일) 박근혜 한국 대통령은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강력한 군사 대응으로 맞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은 이보다 이틀전 남북이 이제 “전쟁 상황”에 돌입했다고 선언한 바 있다.

주한 필리핀대사관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수개월간 그랬던 것처럼 비상경계태세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2010년과 2011년 남북한 간에 사건이 발생했을 때”도 비상경계태세에 들어갔었다고 덧붙였다.

로데리코 에이티엔자 대사 대변인은 “2012년 12월부터 한국에 거주하는 필리핀인들을 대상으로 위험경보1호(Alert Level 1)가 발효 중”이라며 대피 명령을 내리기엔 아직 이르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지난 12월 장거리 미사일 실험, 올 2월 다시 핵실험을 강행하면서 한반도 긴장은 고조돼 왔다. 유엔은 새로운 제재조치를 가했으며, 미국은 지난달 한국군과의 합동군사훈련인 ‘키 리졸브’에서 북한을 겨냥해 B-52 전략폭격기와 최신예 B-2 스텔스 폭격기의 모의 폭격 훈련을 실시했다. 이에 대해 북한은 강한 분노를 표했다.

한편 주한 태국대사관은 한반도 위기시 자국민들을 위한 “자체적인 대피계획”을 운영하고 있다. (남북한은 60년 이상 분단 상태를 지속해왔다.)

다른 대사관들 역시 한반도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앤드류 영 미국대사관 대변인에 따르면 미국대사관은 아직 자국민들을 위한 새로운 지침을 내놓지 않았다. 영 대변인은 위기 상황 발생시 대사관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비상사태 대비대책을 따를 것을 촉구했다. “실제 비상사태가 발생할 시 대사관측은 그때 상황에 맞는 지침을 게재할 것”이란 내용이다.

일본대사관은 대피와 관련한 아무런 특별 지시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