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청소년을 위한 훈훈한 겨울학교

Posted · Add Comment

By Alastair Gale 한국에서 교육열이 엄청나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모든 것이 수능에 달린 상황에서 학부모들은 빚을 내가면서 사교육비를 충당하고, 학생들은 졸린 눈을 비벼가며 입시학원 수업을 듣는다. 탈북청소년들에게 이와 같은 무한경쟁환경은 벅차게 느껴질 수 밖에 없다. 2001년 시작한 한겨레 계절학교는 탈북청소년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합숙형 단기 대안학교다. 자원봉사 교사들이 영어와 수학, 국어 등 핵심과목을 집중지도하는 […]

짜깁기의 대가? 북한측 반박성명 매번 비슷

Posted · Add Comment

By Evan Ramstad Associated Press 2012년 12월 북한이 발사한 장거리 로켓 ‘은하3호’ 북한 정부가 비판 진영을 규탄하거나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할 때면 이전 성명과 얼마나 달라졌는지 살펴보는 것은 언제나 중요하다(그리고 흥미롭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가 최근 북한이 로켓을 발사한 데 대해 대북제재를 강화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발표하자마자 북한은 신속하게 성명을 발표했다. 마치 미리 준비해놓고 기다리기라도 했던 것 같다. […]

북한, 정치범 수용소 또 지었나?

Posted · Add Comment

By Evan Ramstad NK Econ Watch.com/Google Earth 커티스 멜빈의 구글어스 위성사진을 보면 ‘제14호 관리소’ 왼쪽으로 새로운 수용소가 어렴풋이 보인다. 북한이 정치범수용소를 하나 더 만든 걸까? 세계에서 가장 폐쇄된 나라로 불리는 북한의 변화상을 탐색하기 위해 위성사진과 지도를 면밀히 비교검토하는 박사과정 학생인 커티스 멜빈은 이번주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구체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이 같은 가능성을 제기했다. 멜빈은 […]

유엔 인권고등판무관, 북한 인권문제 거론

Posted · Add Comment

By Alastair Gale Associated Press 나비 필레이 유엔인권고등판무관 인권단체들로서는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서 벌어지는 인권유린 상황을 국제사회에 인식시키는 것은 어려운 과제다. 이들 단체들에게 나비 필레이 유엔 인권고등판문관이 이달 14일(월) 국제사회가 북한 인권문제를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한 발언은 상당히 고무적인 사건이었다. 북한 인권문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언론은 시리아와 같은 국가의 인권문제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춰온 것이 사실이다. 외신은 북한이 자국 주민들을 […]

지난해 탈북자 급격히 줄었다

Posted · Add Comment

By Kwanwoo Jun 2012년 가난과 압제를 피해 한국으로 건너온 탈북자 수가 급격히 하락했다. 국경 통제 강화가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으로 탈북한 사람은 총 1,50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잠정적인 수치로 다음달 최종 집계가 완료되면 수정될 가능성도 있다. 이는 2011년 탈북자 수 2,706명의 절반 수준이며 2006년 이후 2,000명 이하로 떨어진 것도 이번이 […]

북한 김정일 ‘화병’으로 사망했다?

Posted · Add Comment

By Alastair Gale 김정일이 사망한 지 1년이 지난 지금도 그의 심장마비로 보도된 그의 사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 2011년 12월17일 오전 8시30분경 현장 지도 방문을 위해 전용열차로 이동 중 과로로 사망했다는 북한 당국의 공식 발표가 전부다. 이 보도와 관련해 일부에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평소 늦잠을 자는 습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김정일이 실제로 열차에 […]